2절 헌법의 기본원리

쟁점 10-2. 신뢰보호의 원칙의 위배여부

(1) 의의

- 신뢰보호의 원칙이란 새로운 입법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공익이 구법질서를 신뢰한 국민의 이익보다 크지 않다면 국민의 신뢰를 보호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2) 내용

- 신뢰보호의 원칙은 법치국가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 법적 안정성의 주관적 측면이다. 부진정소급입법의 경우 원칙적으로 허용되나, 신뢰보호의 원칙의 제한을 받는다.

(3) 판단기준

헌법상 보호가치 있는 신뢰이익의 침해가 있는지 여부와

법령개정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공익과 그로 인해 침해되는 개인의 신뢰이익을 비교형량하여 판단한다.

(4) 비교형량함

입법이 예견가능하거나 법령이 부여한 기회를 반사적으로 활용한 경우에는 공익이 우선하나, 국가에 의하여 유인된 것이라면 보호가치 있는 신뢰로서 공익에 우선한다. 경과규정이 있는지도 비교형량의 중요한 요소이다.

Posted by POST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