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식사
김치찌개 콩자반 두부 김치 시레기 미역무침

1.  김치찌개 의의
김치를 볶은 다음 물을 부어 끓이는 찌개요리. 말은 쉽지만 직접해보면 엄마가 해주시는 그 맛이 안나온다 된장찌개와 함께 대표적인 찌개요리로 군림하고 있다.

김치찌개의 역사는 고추를 이용해 만든 김치와 역사를 나란히 한다. 너무 시어지고 염분도가 높아 생식이 힘들거나, 양을 불리기위해 김치를 물에 넣어 끓여먹던 방식이 고기, 대파, 두부, 마늘 등이 추가되어 현재의 김치찌개가 되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아래 여러가지 조리법이 나오지만, 사실 가장 중요한 건 김치다. 맛있었던 김치가 푹 시어지면 최상의 재료다. 반대로 김치 자체가 맛이 없던 김치나 덜 익은 김치면 무슨 수를 써도 맛있는 김치찌개가 나오기 힘들다. 그러나 MSG라면?(...)2. 재료 및 바리에이션[편집]

볶는 기름에 따라서도 맛의 미묘한 차이가 나는데 주로 참기름이나 들기름으로 한다. 

돼지고기 앞다리나 삼겹살을 쓸 경우 굳이 다른 기름을 쓰지 않고 비계기름만 이용해서 볶아도 매우 구수한 맛을 낼 수 있다. 종종 목살이나 안심, 등심 등의 부위로 끓이거나 그런 고기를 썼다고 광고하는 식당을 볼 수 있는데 기름기가 없는 부위일수록 더럽게 맛이 없다. 볶는 과정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지만 깊은 맛이 안 난다. 대신 김치가 적당히 익은 상태라면 깔끔한 맛이 난다. 볶을 경우에는 김치가 많이 부들부들해지는 만큼 맛이 깊어지고 날김치로 바로 끓이면 김치가 아삭거리고 깔끔한 맛이 난다.

특히 참치를 넣어 끓이는 참치김치찌개의 경우 돼지고기나 다른 재료를 넣는 것에 비해 간단하다.

고기는 주로 비계가 적당히 붙은 돼지고기[1]를 넣어 먹는데 이때 누린내를 없애기 위해 된장을 조금 풀어서 넣는다. 다만 신 김치라면 된장이 없어도 누린내가 사라진다. 된장이 안 어울린다면 냄새 잡는 데 만병통치약인 술을 넣자. 맛술이나 청주도 좋지만 먹다 남은 소주라도 효과는 좋다. 참고로 술이 들어가면 김치 특유의 신맛을 잡을수가 있다. 대부분의 김치에는 마늘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데 이 마늘의 작용으로 돼지고기 누린내는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 냄새에 민감하거나 우리집 김치엔 특히 마늘이 적게 들어간다던가 하는 등의 이유가 있을 경우 커피, 우유, 버터 등 다양한 냄새 제거법을 사용해 주면 좋다. 조리시에 넣는 마늘과 양파로 어느 정도 잡내를 잡을 수도 있다.

호박, 감자, 파, 우엉, 두부, 멸치 등을 넣어 푸짐하게 먹을 수도 있다. 참치의 경우 가급적 찌개 전용으로 넣을 것. 찌개 전용 참치의 경우 맛국물이 미리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캔을 따서 그대로 넣으면 앞서 언급한 기름진 맛과 풍부한 향미(MSG)를 느낄 수 있다. 거기에 살이 단단한 편이라 먹기 딱 괜찮은 정도로 건더기가 보인다.
일반 참치 통조림은 오래 끓이면 풀어져서 형체도 남지 않는다. 다만 국물에 비벼먹는 사람들은 이쪽을 선호한다. 살을 먹고 싶다면 단단한 알바코 (날개다랑어) 통조림을 넣어 먹으면 좋다. 기존 가다랑어 통조림의 기름지고 부드러운 맛보다는 깔끔한 맛이 난다. (알바코 통조림은 대부분 기름이 아닌 물에 담겨 나오기 때문) 꽁치 통조림을 넣어도 제법 괜찮은 맛이 난다. 꽁치김치찌개를 메뉴에 따로 올려놓는 식당도 있을 정도. 그리고 돼지고기는 비계살이 어느 정도 있는 부위로 넣어야 국물이 맛있다. 보통은 앞다리살이나 뒷다리살도 무난하지만 경제적인 여유가 된다면 기타 부위도 넣을 수 있다. 매운맛이 싫을 경우 매실즙을 약간만 넣으면 기막히게 깔끔해진다.

멸치와 참치통조림은 같이 넣을 필요가 없다. 국물맛이 거의 비슷하게 나기 때문에 편한 쪽으로 선택하자. 비교적 맑은 국물을 원한다면 국물용 멸치쪽이 좀 더 바람직 하다. 

일본에서도 기본적으론 한국과 비슷한 재료로 만들지만 돼지고기나 소고기 대신 기름기가 적은 닭고기를 넣고, 돼지 비계나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사용하는 대신 버터를 소량 더하여 지방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바리에이션도 있다. 

돼지고기의 경우 우리가 김장할 때 갈치나 굴 등을 넣어 김치를 담그듯 이북에서는 돼지고기를 넣어 담그는데 그렇게 같이 숙성된 돼지고기를 김치찌개에 넣어 만들기도 한다. 전쟁 때 남쪽으로 내려오신 어르신들과 현대의 탈북자들이 소개해주기도 한다. 물론 현재 북한 주민들이 돼지고기를 맛보는 건 어림도 없다.3. 자취생을 위한 조리법[편집]

요리를 하는 자취생이라면 다음 레시피를 참고해볼 수 있다. 14년 10월 기준으로 3,000원 대로 고추, 두부 1모, 깐마늘을 살 수 있다. 5,000원에 동네 정육점에서 뒷다리살을 찌개용으로 사온다. 위 재료는 충분히 3일 이상을 먹을 수 있는 양이다.

고기와 김치를 넣고 볶는다. 여기서 불은 약불을 써야하며, 굳이 식용유나 들기름 등을 넣을 필요는 없지만, 가능하다면 이용해서 나쁠 것은 없다. 이때 마늘을 충분히 다져서 넣는다. 김치가 허옇게 될때까지 충분히 익혀야 한다.

김치찜인가 김치찌개인가 의심이 들기 시작하면 ?!자신이 먹는 김치의 간이 싱거운 편이라면, 까나리 액젓을 한 술 넣는다[2]. 자취생이 까나리 액젓이 왜 있냐고 묻지는 말자. 있는가 보다 하면 된다. 까나리액젓 3 + 국간장 1 비율로 국간장을 함께 넣어도 되고, 김치국물을 넣어도 좋다. 칼칼한 맛을 원한다면 고춧가루를 첨가한다.

충분히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고추장을 살짝 풀어 넣는다.

고추장이 어느정도 풀렸다 싶으면 두부, 고추, 파를 썰어넣고 마무리한다. 기호에 따라 굵은 소금을 투하하자.


이렇게 끓이면 식당에서 파는 것보다도 더 맛있는 김치찌개가 나올 수 있다. 다만, 고추장을 푼 김치찌개를 너무 여러번 끓이면 맛이 변할 수 있으니 주의. 된장을 풀거나 가끔 쌈장도 푸는 용자가 있는데, 의외로 맛이 괜찮을때가 있다. 하지만 복불복이라는점.된장찌개가 아닌 이상 고추장만 푸는 것이 자취생 정신건강에 이롭다. 김치국물을 너무 사용해서 나중에 김치찌개를 끓일 수 없는 사태에 이르게 되는 자취생들에게 매우 좋은 조리법이다. 8,000원에 고기 넣은 국으로 3번 나누어 끓여 3일 이상을 버틸 수 있으니 가격 또한 매우 매력적.

3.1. 간단한 버전[편집]

재료가 많이 들어가는 것이 걱정인가? 그렇다면 이렇게 해봐도 괜찮다.MSG 찌개준비물: 김치, 고춧가루, 다진마늘, 참기름, 돼지고기, MSG[3], 소금, 물

시작하기 전에: 이 레시피에서는 고기가 국물맛을 내지 않으므로 먹고싶은 만큼만 넣으면 된다. MSG가 들어가는 관계로 고기가 없으면 안 넣어도 찌개 맛은 난다. 단, 김치가 너무 적으면 고춧가루 맛만 나므로 주의.

김치를 참기름에 적당히 볶는다[4]. 김치국물이 있으면 한 국자 정도 넣는다. 없으면 말고.

타기 직전에 물을 적당히 붓고 다진마늘[5] 1/3 티스푼을 풀고 고춧가루를 한 스푼 정도[6] 넣은 뒤 MSG 한 티스푼[7]을 넣는다.

오래 끓인다. 끓이면서 물이 너무 적다 싶을 때 한 번 물을 보충해준다.

두 번째 물을 보충해줄 시점에 고기를 간을 해 가며 구워서 물과 함께 넣고 또 한참 끓인다. 구울 때 나온 기름도 함께 넣어준다. 목살 등 기름이 적은 부위라면 식용유를 두르라.

물이 2/3정도로 줄어들었으면 소금으로 간을 맞춘 후 불을 끄고 먹는다. 소금은 미묘한 단 맛이 없어질 만큼 넣으면 된다. 덜 끓은 것 같은 맛이라면 소금을 더 넣자.


특별한 재료 없이도 적당히 먹을만한 김치찌개를 만들 수 있다. 김치가 단 맛이 날 정도만 아니면 어차피 오래 끓이면서 맛이 우러나오므로 덜 익었어도 괜찮다.

김치가 충분히 시고 맛있다면 그냥 적당히 썬 돼지고기와 김치를 버무려 냉장고에 하루저녁~이틀 정도 숙성시켰다가 물만 부어 푹 끓인 후 고춧가루와 청양고추를 넣고 한소뜸만 더 끓여도 된다. 육즙과 김치국물이 서로 배어들어 별다른 기술없이도 충분히 중간은 한다.

3.2. MSG를 쓰지 않는 초간단 버전[8][편집]

냄비에 물을 대충 받는다.

물에 김치썰은 것과 된장을 대충 숟가락으로 투하하고 고기도 적당히 썰어서 넣는다.[9]
만약 참치 김치찌개를 끓일 생각이라면 가급적 김치찌개 전용의 참치를 쓰도록 하자. 이 경우 딱히 별다른 부재료를 넣지 않아도 참치 김치찌개 캔 안의 기름과 양념을 집어넣으면 풍부한 맛의 참치 김치찌개를 즐길 수 있다.

대충 끓이다 김치찌개 냄새가 솔솔 올라오면 불을 끄고 먹는다.


참고로 맛이 뭔가 미묘하다 싶으면 다진 마늘을 넣도록 하자. 다진 마늘, 또는 생마늘을 구하기 어렵다면 김치국물을 적당량 투하하자.

출처 나무위키
Posted by POSTING :